명산산행지설명/경기도

소요산-경기동두천.포천

다우리산사랑 2008. 8. 29. 16:30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동,보산동.포천시 신북면 덕둔리

 

 

소요산(逍遙山 587m)은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동에 있으며 한수 이북 최고의 명산, 또는 경기의 소금강 등으로 불린다. 서화담 양봉래와 매월당이 자주 소요하였다하여 부르게 되었다한다. 소요산은 규모는 작지만 산세가 특이하다.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이 장관을 이루며, 여름의 녹음과 폭포, 계곡,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 산이다.

서울에서 44km, 동두천 시청에서 동북쪽으로 약 5km의 거리에 있는 소요산은 해발은 낮아도 수목과 폭포, 봉우리가 줄지어 있는 서울 근교의 명산이다. 웅장하지는 않지만 아기자기한 골짜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오랜 세월의 풍화를 겪은 기암괴석이 단풍과 어우러지고 곳곳에 폭포와 암자가 있어 더욱 절경을 이루는 산이다.

소요산 등산코스는 관리사무소에서 1km 들어간 일주문에서 시작해 구절터~공주봉, 자재암에서 금송굴계곡~나한대, 자재암~선녀탕~상백운대~나한대, 자재암 북쪽 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나한대를 경유해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칼바위 암릉에서 남동쪽 새목고개~왕방산 방면 능선, 공주봉~의상대~나한대~칼바위 암릉으로 이어지는 능선 남쪽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출입금지 지역이다.

소요산 북서면의 동막골은 국유림으로 상단부에 복구가 안 된 폐광이 있다. 하봉암동에서 약 2.5km 상류의 체육공원까지만 출입이 가능하다. 그 외에는 산림청에서 입산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등산객이 덕일봉과 번대산 사이 동막고개에 계곡을 타고 체육공원까지(약 1.2km 거리)를 하산길로 이용하기도 한다.

산행은 소요산 주차장에서부터 시작된다. 1km 단풍길을 따라 일주문을 지나면 갈림길이 나타난다. 이곳에서 원효폭포를 지나 오른쪽으로 난 계곡길을 따르면 소요산 정상 의상대로 오를 수 있다. 모든 코스는 하루 산행이 가능하다. 자재암 옆에는 나한전 석굴과 청량폭포가 있다. 곳곳이 원효대사의 전설이 서려있는 산이다.

원효폭, 원효대와 자재암 역시 원효대사의 전설이 깃들어 있다. 원효대사가 이 절을 창건하면서 이곳에서 수도하고 있었는데, 요석공주가 매일 아침 자녁으로 설총을 데리고 지금의 일주문 부근에 와서는 대사가 수도하는곳을 향해 삼배 절을 시키며 설총이 공부에 전념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곳에서 하백운대, 중백운대, 상백운대 그리고 나한대로 오를 수 있다. 나한전 왼쪽 길로 들어서면 본격적인 등산이 시작된다. 청량폭포를 지나면 능선과 계곡 갈림길이 나타나는데 계곡으로 들어서면 선녀탕이 나온다. 중백운대로 오르는 길은 가파른 암릉길이다. 중백운대에서 상백운대로 가는 길은 경사가 가파른 암릉길이다.

중백운대에서 상백운대로 가는 길은 경사가 가파르다. 중백운대와 상백운대로 가는 길은 완만하지만 능선 남쪽에는 벼랑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곳이다. 상백운대에서 선녀탕이 있는 계곡으로 내려갈 수 있으며 나한대를 지나 정상인 의상대까지 간 후 원효폭포로 하산하는 코스가 있다. 총 산행시간은 3시간40분 소요된다.

소요산이 단풍산행지로 손꼽는 이유 중 하나는 94년 개장한 신북온천과 초성리 열두개울 계곡과 삼정리에 약수터가 가까이 있어서일 것이다. 신북온천으로 갈 경우에는 중백운대와 상백운대 사이의 530봉에서 북쪽 감투봉을 지나 이시랑고개로 내려가면 된다. 소요산에는 곳곳에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이야기가 스며있다. 요석공주가 머물렀다는 별궁터와 원효가 수도했다는 원효대도 있고 정상인 의상대 옆에 있는 공주봉도 있다.

산 중턱의 '자재암'은 원효대사가 도를 깨친 곳으로 원효가 요석공주와 인연이 있은 후 심산유곡인 이곳을 찾아와 수행하다가 절을 지었다고 한다. 자재암 주변엔 아담한 물줄기의 폭포가 널려 있다. 원효폭포, 옥류폭포, 청량폭포, 선녀탕 주변엔 여름철마다 피서객들로 북적댄다. 자연석굴인 나한전과 산중턱의 금송굴도 신비롭다.

※ 산행코스
• 식수는 자재암 옆에 나한전이라고 불리는 자그마한 굴(원효샘물)에서 미리 준비한다. 산행시간은 4시간이 소요된다. 자재암에서 하백운대에 오르는 길은 대단히 가파르지만 일단 하백운대에 올라서면 건너편 나한대와 의상대, 공주봉 능선이 한 눈에 들어온다. 하백운대에서 상백운대까지 이르는 길은 완만한 능선. 봄철 진달래가 만발한다. 다시 이곳부터 나한대까지는 바위가 많고 오르막과 내리막이 이어진다. 의상대에 오르면 동두천 시가지가 보이고 멀리 남쪽으로 도봉산과 북한산, 수락산이 한 눈에 들어온다. 중백운대에서 530봉에 이르러 북쪽 능선을 따라 감투봉에 올랐다가 능선길을 따라 신북온천으로 내려오는 길도 있다.

• 관리소→하백운대→중백운대→선녀탕→관리소(약 1시간 30분)
• 관리소→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샘→관리소(약 2시간 30분)
• 관리소→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나한대→금송골→관리소(약 3시간)
• 관리소→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나한대→의상대→관리소(약 3시간 30분)
• 관리소→하백운대→중백운대→상백운대→나한대→의상대→공주봉→관리소(약 4시간)
• 관리소→일주문→공주봉→소요산(의상봉)→나한대→갈림길→금송굴→자재암→관리소
• 관리소→일주문→공주봉→소요산(의상봉)→나한대→칼바위→상백운대→530봉→감투봉(535.6m)→거북바위→쪽두리바위→410봉→390봉→이시랑골 입구

※ 교통정보
• 인천·서울→소요산역 평일 평균 30분 간격(1일 39회·05:20~22:30)으로 운행하는 소요산행 1호선 광역전철 이용. 구로역에서 발차하는 전철도 있다. 이 전철은 토요일 36회. 일·공휴일 35회로 운행회수가 약간 줄지만, 평균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시간폭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 소요산역→서울·인천 평일 약 30분 간격(05:22~22:06〔인천행 막차〕, 22:36〔구로역행 막차〕, 00:03〔성북역행 막차〕), 토요일 약 30분 간격(05:24~21:54〔인〕, 22:37〔구〕, 00:03〔성〕), 일·공휴일 약 30분 간격(05:49~21:55〔인〕, 22:43〔구〕, 00:03〔성〕) 운행.
• 수유역(전철 4호선)→소요산 36번과 37번(수유역~도봉산역~의정부~가능역~덕계동~동두천 경유) 버스가 5분 간격(06:00~22:00)으로 운행. 이용. 요금 교통카드 1,300원, 현금 1,400원.
• 도봉산역(전철 4, 7호선)→소요산 상기 버스 외에 39-5번(도봉산역~전곡) 버스가 10분 간격(06:10~22:30)으로 운행.
• 포천→신북온천 1시간 간격(06:20~18:20)으로 운행하는 57번 버스(포천상운) 이용. 포천시청~신북~하심곡~허브랜드~신북온천~초성리~소요산역~동두천으로 운행.
• 동두천역→신북온천 57번 포천행 버스가 1시간 간격(07:00~18:00)으로 매시 정각에 출발. 요금 1,100원.
• 신북온천→포천 동두천 발 소요산역~초성리 경유 57번 버스가 매 짝수 시간 10분에 도착 후 포천으로 출발.

• 신북온천→동두천 포천에서 들어온 57번 버스가 매시 정각 온천장 정류소 도착 후 동두천으로 출발. 요금 1,100원. 약 20분 소요. • 서울→보산역·동두천역·소요산역 평일 1일 53회(서울 시청역 경유 첫차 05:33, 06:00, 06:57, 17:29, 07:59, 08:23, 08:50, 09:18, 09:51~이후 23:01까지 30~40분 간격), 토·일·공휴일 1일 50회(05:22~23:13) 운행. 이 전철을 타고 마차산 산행기점인 보산역, 동두천역, 소요산역 등에서 하차. 소요산역까지 80분 안팎 소요.
• 소요산역→서울 방면 평일 41회(05:15~15:47 이후 16:10, 16:32, 17:14, 17:40, 18:00, 18:31, 19:06, 19:21, 19:47, 20:16, 20:39, 21:03〔성북역 종착〕, 21:30, 22:14〔구로역 종착〕, 22:37〔구〕, 23:02〔성〕, 23:38〔성〕), 토· 일·공휴일 36회(05:30~15:18 이후 15:47, 16:10, 16:29, 17:17, 17:39, 17:59, 18:14, 18:32, 19:06, 19:36, 20:16〔구〕, 20:57, 21:23, 22:20〔구〕, 23:05〔성〕, 23:35〔성〕) 운행.

• 버스편 수유역(전철 4호선)→소요산행 36번 버스 이용.
• 도봉산역(전철 1호선)→소요산행 39번, 39-5번 버스 이용.
• 소요산역→초성리 소요산역 맞은편 버스정류장에서 매시 55분 발 57번(소요산역~초성리~신북온천~허브아일랜드행), 매시 20분 발 39-2번(동두천~소요산역~연천~대광리~신탄리행) 등 이용, 하봉암동(봉암광산 입구), 승전교 입구 등에서 하차.
• 초성리→소요산역 3번국도 초성교 북단 마차산 등기점 앞으로는 시내버스가 지나가지만 버스정류장이 없고, 버스를 세워주지 않는다. 승전교 입구 정류소까지 걸어 나와야 한다.
• 동두천→안말(하봉암동) 구 터미널에서 소요초교 경유 1일 13회(06:40, 07:20, 08:25, 10:10, 10:55, 12:35, 13:45, 15:35, 17:05, 18:25, 19:50, 20:25, 21:30) 운행. 25분 소요. ※승전교 서쪽 마을 및 봉암광산골 방면 등·하산 시 이 버스편 이용.
• 안말→동두천(구터미널) 안말상회 앞에서 소요초교 경유 1일 13회(07:05, 07:35, 08:45, 10:30, 11:30, 13:00, 14:35, 15:55, 17:30, 19:10, 20:10, 21:05, 21:50) 운행. 태양운수(031-832-2194).
• 동두천→웃안흥 동두천전화국 출발 신흥고 경유 1일 6회(06:40〔51번 버스〕, 07:25〔주공 5단지 출발 1번〕, 09:05〔1번〕, 12:10〔60번〕, 15:10〔60번〕, 18:10〔60번〕) 운행.
• 웃안흥→동두천 1일 6회(07:00〔51번〕, 07:55〔1번〕, 09:50〔1번〕, 12:30〔60번〕, 15:30〔60번〕, 18:30〔60번) 운행.
• 택시 동두천 콜택시 031-864-0004. / 동두천 미래교통 031-861-4193. / 동두천 택시 031-864-1111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 조건 변경 허락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동두천시 소요동 | 소요산
도움말 Daum 지도
댓글이 0개 달렸습니다.
Posted by 꿈꾸는멍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