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리·산행정보/등산정보·상식

[스크랩] ☞ 백두대간 종합자료실 ☜

다우리산사랑 2008. 11. 21. 10:56

 

  

나들목 [맨밑]HOME  백두대간[매인] 구간별·실측표·소개·1대간1정간13정맥·전도[맨밑] 나들목

[백두대간 실측거리표]

구간별

산군별

구   간   주   요   지   점

해당
지역

도상
거리

소요
시간

안내지도

합계

 

도상거리 약 1,577㎞, 실제거리 약 2,103㎞

 

(㎞)

  구간도
  위성도

dia_green.gif 남한 쪽 백두대간(지리산 천왕봉~삼재령) ※도상거리 약 666㎞,실제거리 약 888㎞(진부령까지 640㎞)

제01구간

지리산군

 중산리~천왕봉~제석봉~연하봉~삼신봉~영신봉~벽소령

산청·하동함양

13

9:00

제1구간 구간도 제1구간 위성도

제02구간

 벽소령~형제봉~명선봉~토끼봉~삼도봉~노고단~성삼재

하동·구례함양·남원

17

7:30

 

제03구간

 성삼재~1102봉~작은고리봉~묘봉치~만복대~정령치

구례·남원
 

8

3:45

 

제04구간

백운산군

 정령치~고리봉~고기리~덕치리~수정봉~입망치~여원재

남원
 

10

5:05

 

제05구간

 여원재~고남산~사치재~복성이재~치재~봉화산~중재

남원·장수함양

30

14:10

 

제06구간

 중재~백운산~1066봉~영취산~암봉~민령~깃대봉~육십령

장수·함양
 

17.9

9:20

 

제07구간

덕유산군

 육십령~할미봉~장수덕유산~삿갓봉~무룡산~동엽령

장수·함양거창·무주

16.5

9:50

 

제08구간

 동엽령~백암봉~귀봉~지봉~월음령~대봉~갈미봉~빼재

무주·거창
 

13.5

5:55

 

제09구간

 빼재~수정봉~삼봉산~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

무주·거창김천

12

6:35

 

제10구간

 덕산재~폐광터~부항령~삼도봉~밀목재~화주봉~우두령

김천·무주영동

21.5

11:05

 

제11구간

황악산군

 우두령~바람재~형제봉~황악산~백운봉~운수봉~궤방령

김천·영동
 

11.6

5:20

 

제12구간

 궤방령~418봉~가성산~장군봉~663봉~눌의산~추풍령

김천·영동
 

9.1

4;30

 

제13구간

속리산군

 추풍령~금산~사기점고개~작점고개~용문산~국수봉~큰재

김천·영동상주

18.5

8:40

 

제14구간

 큰재~회룡재~개터재~477봉~백학산~개머리재~지기재

상주
 

18.7

8:05

 

제15구간

 지기재~금은골~신의터재~무지개산~윤지미산~화령재

상주
 

15.2

6:35

 

제16구간

 화령재~450봉~산불감시초소~봉황산~비재~갈령삼거리

상주
 

14

6:15

 

제17구간

 갈령삼거리~형제봉~천황봉~신선대~문장대~밤티재~늘재

상주·보은
 

15.6

10:10

 

제18구간

대야산군

 늘재~청화산~조항산~고모치~대야산~촛대봉~버리미기재

상주·문경괴산

14.9

9:15

 

제19구간

 버리미기재~장성봉~악휘봉옆~은티재~구왕봉~지름티재

문경·괴산
 

10.9

7:15

 

제20구간

 지름티재~희양산~이만봉~평전치~백화산~황학산~이화령

문경·괴산
 

16.6

7:05

 

제21구간

조령산군

 이화령~조령샘~조령산~신선암봉~치마바위~깃대봉~조령

문경·괴산
 

7.7

5:55

 

제22구간

 조령~마폐봉~부봉갈림길~주흘산갈림길~탄항산~하늘재

문경·괴산충주

 8.8

4:00

 

제23구간

황장산군

 하늘재~포암산~부리기재~대미산~차갓재~작은차갓재

문경·충주제천

 18.9

8:20

 

제24구간

 작은차갓재~황장산~폐맥이재~벌재~문복대~저수재

문경단양예천

 13.1

7:10

 

제25구간

소백산군

 저수재~촉대봉~뱀재~솔봉~묘적령~묘적봉~도솔봉~죽령

예천·영주단양

35

9:00

 

제26구간

 죽령~연화봉~소백산~국망봉~늦은맥이~마당치~고치령

영주·단양
 

22.3

11:15

 

제27구간

 고치령~늦은목이~선달산~박달령~옥돌봉~도래기재

영주·봉화영월

24.8

9:30

 

제28구간

태백산군

 도래기재~구룡산~신선봉~깃대배기봉~태백산~화방재

봉화·영월태백

23.7

12:10

 

제29구간

 화방재~함백산~중함백~은대봉~금대봉~매봉산~피재

태백·정선삼척

21.5

8:40

 

제30구간

청옥산군

 피재~건의령~푯대봉~구부시령~덕항산~황장산~댓재

삼척·태백
 

24

11:45

 

제31구간

 댓재~두타산~청옥산~고적대~갈미봉~이기령~백복령

삼척·동해정선·강릉

27.5

10:50

 

제32구간

오대산군

 백복령~869봉~생계령~고병이재~석병산~두리봉~삽당령

정선·강릉
 

16.2

9:15

 

제33구간

 삽당령~화란봉~닭목재~고루포기산~능경봉~대관령

강릉·정선평창

25.5

10:35

 

제34구간

 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소황병산~노인봉~진고개

강릉·평창
 

23.5

7:30

 

제35구간

 진고개~동대산~두로봉~신배령~응복산~약수산~구룡령

강릉·평창홍천·양양

22

9:55

 

제36구간

 구룡령~1121봉~갈전곡봉~연가리골샘~쇠나드리~조침령

양양·홍천인제

10.4

8:55

 

제37구간

설악산군

 조침령~962봉~북암령~단목령~점봉산~망대암봉~한계령

양양·인제
 

21

9:55

 

제38구간

 한계령~끝청봉~중청봉~대청봉~공룡능선~나한봉~마등령

양양·인제
 

17.5

8:55

 

제39구간

 마등령~1326.7봉~너덜~저항령~황철봉~너덜지대~미시령

양양·인제
고성

10.7

6:05

 

제40구간

 미시령~상봉~화암재~신선봉~큰새이령~마산~진부령

고성·인제
 

14.25

8:30

 

제41구간

금강산군

 진부령~칠절봉~향로봉분기점~고성재~삼재령(남한 끝)

인제·고성
 

26

11:00

 

dia_green.gif 북한 쪽 백두대간(삼재령~백두산 장군봉)  ※ 도상거리 약 910㎞, 실제거리 약 1,210㎞

제01구간

금강산군

 삼재령~오가덕현~무산~새덕현~우현~국사봉~외무재령

금강·고성
 

 29

 

위성도1 위성도2

제02구간

 외무재령~차일봉~내무재령~금강산비로봉~상등봉~온정령

금강·고성
 

 19.5

 

위성도1 위성도2

제03구간

 금강산온정령~오봉산~선창산~사령~매산~덕수산~널막령

금강·고성통천

 26.7

 

위성도1 위성도2

제04구간

 널막령~고윤산~백적산~추지령~우동산~손오고개~법배령

금강·통천회양

 33.7

 

위성도1 위성도2

제05구간

청하산군

 법배령~도납령~뒷골산~박달령~장수봉~연대봉~철령

금강·통천안변·고산

 30.5

 

위성도1 위성도2

제06구간

 철령~고직령~풍류산~청하산~연대봉분기점~학미현

회양·고산세포

 17.4

 

위성도1 위성도2

제07구간

추애산군

 학미현~립암산~배등령~백등령~성산~불당산~마상산

세포
 

 44.1

 

위성도1 위성도2

제08구간

 마상산~연대봉~설운령~추애산~봉수령~저두봉~천령

고산·회양법동

 38

 

위성도1 위성도2

제09구간

 천령~백암산~백암령~노인치~성재산~복회령~마식령

법동·안변원산

 21

 

위성도1 위성도2

제10구간

두류산군

 마식령~갈현~명우래령~다락산~두류산~971.2봉~회동현

법동·천내고원

 22.5

 

위성도1 위성도2

제11구간

 회동현~관유산~신재령~재령산~기린령~박달령~거차령

양덕·고원
 

 32.5

 

 

제12구간

백 산 군

 거차령~평산덕산~목둔지산~맹령~함지령~운령~백두산

양덕·고원
 

 29

 

 

제13구간

 백두산~백산~1,375.2봉~미산령~장포령~운봉~거산령

고원·요덕신양

 25

 

 

제14구간

용풍산군

 거산령~상수포분기점~자작령~철옹산~분령~철옹성

맹산·요덕
 

 35

 

 

제15구간

 철옹성~1,073.7봉~용풍산~망경대령~성전고개~마유령

맹산·요덕
 

 32

 

 

제16구간

모도봉군

 마유령~백산~모도봉~모도령~사수산~향로봉~(하)검산령

영원·요덕대흥·정평

39.5

 

 

제17구간

 (하)검산령~백산~대흥리고개~차일봉~유동령~(상)검산령

대흥·함주
 

27

 

 

제18구간

 (상)검산령~노란봉~(청남·청북정맥분기점)~마대산~황초령

함주·영광대흥·장진

36

 

 

제19구간

백역산군

 황초령~매봉 분기점~생바우고개~고대산~백암산~부전령

영광·신흥장진·부전

34

 

 

제20구간

 부전령~1,562.7봉~(구)부전령~백역산~명당봉~불개미재

신흥·부전풍산

24

 

 

제21구간

희사봉군

 불개미재~금패령~배재산~희사봉분기점~1,645봉~통팔령

덕성·풍산
 

26

 

 

제22구간

 통팔령~삼봉~쌍봉~용수동령~남산봉~곽개령~후치령

덕성·풍산
 

32

 

 

제23구간

희사봉군

 후치령~추동산~엄방골령~독동령~두운봉~희사봉~조가령

덕성·허천풍산

32

 

 

제24구간

 조가령~봉수봉분기~황토령~시루봉분기점~흰새봉~까치령

허천·풍산풍서·갑산

29

 

 

제25구간

대각봉군

 까치령~1,735봉~남대령~안장령~동점령산~동점령

허천갑산
 

22.5

 

 

제26구간

 동점령~1,925봉~화동령~대각봉~백암령~1,903봉~남설령

단천·운흥
 

33

 

 

제27구간

백사봉군

 남설령~장백정간 분기점~석개령~백사봉~황봉~큰골령

백암·운흥
 

29.5

 

 

제28구간

 큰골령~1,715봉~아무산~1,704봉~정하봉~최가령

백암·보천
 

25

 

 

제29구간

백두산군

 최가령~1,616.9봉~1,928봉~백사봉~2,024봉~북설령

백암·보천
 

24

 

 

제30구간

 북설령~2,009봉~2,005봉~북포태산~1,933봉~허항령

보천·삼지연

22

 

 

제31구간

 허항령~1,403봉~소백산~2,017봉~간백산~2,081봉~선오산

삼지연
 

26

 

 

제32구간

 선오산~1,953봉~대연지봉~2,385봉~백두산 장군봉

삼지연
 

14

 

 

벌노랑이  반도의 등줄을 이루고 있는 백두대간 !!  이름만 들어도 가슴 설레는 일이다. 대한의 자손이면 누군들 백두대간에 관심이 없는 이 그 누구이겠는가. 이 한 쪽에 백두대간의 모든 것들이 살아 숨쉬고 있다. 지리산 맨 끝자락부터 진부령 윗자락까지 백두대간 1천6백리(640㎞)의 비밀이 속속 깃들어 있다. 지나는 풀꽃 한 포기 조차도 놓치지 않고자 노력을 기울여 봤다. 꿈틀이는 산릉과 봉마다 숨어 있는 갖가지 사연들을 모두 담아보고자 눈길을 바삐 움직여 봤지만 아직도 더 많은 것들을 담고 싶다. 백두대간을 꿈꾸는 꾼들에겐 눈으로 미리 달려보고 확인할 수 있는 길잡이가, 마음으로나마 함께 하고픈 애산인(愛山人)들에겐 한 쪽의 그림책이, 혹은 병실에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자들에겐 함께 그 감동을 느껴보는 공간으로 지나는 능선마다 카메라 셔트를 바쁘게 움직여 봤다. 아무튼 백두대간에 맘을 담아 보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공간이길 바라면서 앞으로도 더 잘 깁고 가꾸어 나갈 작정이다. 백두대간 능선에는 또 겨울이 가버리고 봄을 반겨 새싹을 틔우며, 짙은 여름을 보내고 오늘은 가을이 풍성하기만 하다. 가자! 대간길 능선에 운무가 인다, 흐드러진 야생화가 지천이다. 또 뭉게구름이 떠가는 마루금엔 단풍물결이 일렁이고 있다. 지리여 ! 설악아 ! 네가 말하려고 하는 바 그 무엇이더냐?

금강산 귀면암.     통일이여 !  통일이여 !

     민족의 가슴을 멍들게 한
     철조망이 걷히고
     막혔던 혈관을 뚫고
     끓는 피가 맑게 흐르는 날

     대간길 마루금에 흩날리는
     풋풋한 풀꽃 내음 맘껏 호흡하며
     물안개 피는 북녘땅 삼재령에서
     다시 한번 힘찬 발길 내딛는
     니 모습이 보고 싶다.

  한의 등뼈를 이루고 있는 백두대간 !
지리산 천왕봉에 올라서  백두대간이란 이름만 들어도 가슴 설레는 일이다. 힘이 절로 솟구치고 대간길 능선을 무한정 걷고 싶은 충동으로 휩싸인다. 백두산에서 발원해 동해의 푸른 물결을 타고 흘러 다시 내륙으로 힘차게 뻗어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백두대간은 큰 산줄기를 이루며 무수히 많은 명산들을 쏟아 내고 있다.

  백두대간은 과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대간길 능선과 숲속길, 능선 좌우와 주변에 펼쳐진 산경(山景)은 또 어떤 자태로 다가올까. 이 곳에서 자라는 식물과 야생화, 곤충 등 백두대간에 자리잡은 것들은 또 어떤 것들일까. 이 모든 것들이 산을 좋아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산에 한 번도 올라보지 못한 이들에게도 궁금증을 더함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제 우리땅 백두대간에 숨어있는 깊은 숨소리를 직접 한 번 들어보고자 한다. 그동안 산악회와 더불어 백두대간상의 명산을 다녀+오기도 하고 몇몇이 지리.덕유종주 등 며칠간을 산에서 견뎌 보기도 했다. 백두대간을 한 번 돌아봤다고는 하지만 이렇다할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내놓을 것이 없다. 백두대간의 갖가지 생생한 모습을 담아 함께 그 감동을 다시 느껴보고자 대간길로 발길을 옮겨보려고 한다.

  앞으로 틈틈이 대간길을 찾아 지리산 천왕봉에서 남한의 최북단까지 이어지는 연속된 대간길의 여러 장면들을 사진으로 담아 이 곳에 실어보고자 한다. 각 구간의 상태와 지형지물, 대간의 생김새, 주변의 풍경 등 그림만 보고도 대간길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해 볼 것이다. 백두대간 종주를 하는 산사람들에게는 대간길 구석구석을 살필 수 있도록 해 이 공간을 통해 마음속으로 미리 대간길을 달려보도록 하고, 마음은 있으나 실제로 대간종주를 할 수 없는 애산인(愛山人)들과 더 나아가 몸이 불편한 자들에겐 마음으로나마 민족의 등줄인 백두대간을 달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지금까지 백두대간에 대한 갖가지 소개 책자들이 나와 있지만 풀어놓은 설명과 몇 장의 삽입된 그림만으로는 속시원히 알 수가 없다. 백두대간의 모든 것을 다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고나 할까. 백두대간 종주에 있어 가장 어려운 것은 이동수단이다. 많은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최선의 노력을 다해보고자 혼자 마음속으로 다짐을 해본다.

2003년 8월  일

백두대간 종주를 시작하며

  두대간의 긴 여운이 아직도 잔잔한 물결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점봉산에서  일차적으로 이렇게 종주를 마무리 한다는 것이 못내 아쉽기만 하고, 아직도 백두를 향해 끝없이 치닫고 싶은 욕망이 가슴속 깊이 꿈틀이고 있습니다. 대간길에 오르기만 하면 힘찬 기운이 샘솟고 무한한 행복감에 젖어드는 마력에 미련이 좀체 가시질 않는군요. 무엇이든지 시작하기가 어렵지만 막상 어떤 목표를 잡고 들어서기만 하면 또 해내게 되는 것 같습니다. 대한의 한 존재로 이 땅에 나서 백두대간 종주는 한번쯤 해보는 것이 기본이라 생각합니다. 해가 갈수록 백두대간을 2차, 3차, 4차까지 종주하는 꾼들에 비하면 별 것 아니지만 그래도 무엇인가 하나를 이루어 냈다는데 가슴 한구석 뿌듯한 자부심도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중산리에서 지리산 천왕봉에 올라 첫 종주길에 들어서며 끝도 없는 아득한 북쪽 하늘을 쳐다볼 때 마치 군 훈련소에 입대하는 기분처럼 요원하기만 했습니다. 그래도 한구간 한구간 종주를 하며 짧은 구간이지만 그 나름대로 보람이 있었고 버거운 하루를 넘기기가 힘들었지만 그래도 구간마다 특이한 꿈결산행을 맛보았지요. 백두대간 종주를 한 산객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모두가 갖가지 사연들이 가득 담겨 있다고들 한다. 때로는 힘들고 어렵고 고통의 순간도 있었을  것이고 콧노래를 부르며 능선을 지나는 재미있는 시간도 뒤따랐을 것이다.
  대다수의 구간을 나 혼자서 산행을 하게 됐고, 혼자서 집을 나서 산을 간다니 집사람의 성화와 걱정이 또 늘어졌다. 그 속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듬듬하게 혼자서 산을 지날 수 있고 산속의 모든 사물이 친구가 되어주니 오히려 마음 편하기만 하다. 대자연의 넉넉한 품속에 혼자 있다는 것이 얼마나 마음이 풍성한 지 모른다. 혼자서 무턱대고 종주만을 목적으로 발길만 옮긴다면 얼마나 공허한 마음일까. 산을 즐기고 멋을 탐닉하는 방법을 아울러 지니고 다녀야 두배로 큰 수확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산을 가려면 우선 산에 대한 정보는 기본이며, 야생화, 초목류, 수목류, 버섯류 등등 약간씩은 알고 다녀야 그 재미를 더 늘일 수 있다고 하겠다.
  지리산 산행에선 과한 욕심을 부려 하룻만에 종주를 마치기도 했고, 동절기 어둠속에서 아무런 대책없이 올라온 길 잃은 대학생들을 구출하기도 했다. 여원재 가는 가재마을에선 구판장 막걸리 맛이 일품이요, 눈 쌓인 덕유산의 설국에는 금방 취해 버리고, 키를 낮춘 화령지구대를 거쳐 문경구간 명산터널을 지나 저수재, 소백산에 붙어 강원도 큼직한 산 품에 들어서서 넉넉함도 배우고, 설악의 한계령과 대청, 공룡, 미시령을 거쳐서 막바지 진부령 표지석을 잡고는 북쪽을 향한 아쉬움 마음에 온갖 상념에 잠기기도 했던 대간길의 추억들이 몸속 깊숙히 알알이 박혀 내 몸의 한 부분이 되고 말았다.
  대간 종주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교통문제 해결이다. 버스를 타고 이동하기엔 워낙 시간이 많이 소요돼 혼자 나서서 출발지 고갯마루에 차를 세워두고 날머리에서 택시를 불러타고 회귀를 해야했고, 어떨 때는 집사람의 신세를 지기도 했다. 태백에선 찜질방에서 한 밤을 보내고 여러번 차 속에서 쪼그리고 불편한 잠을 자기도 했다. 어자피 몸은 대간길에 맡겨둔 것이고 고생길을 자초하여 나선 것인데 차에서 잔들 무슨 소용이리요. 아무렴 어떻겠습니까.
  앞으로도 기회 닿는 대로 더 자세한 모습들을 살펴보면서 백두대간의 깊은 숨결을 느껴보고 싶다. 통일이여, 통일이여, 휴전선의 철조망이 사그라지고 문이 열리는 날, 금강산 산릉을 밟고 백두의 천지를 향해 희뿌연 입김을 내뿜으며 가야만 한다. 바윗길 능선에 타오르는 태양의 심호흡을 받으며 피어나는 산꽃들을 바라보며, 바삭이는 산죽밭을 헤치며 지나야 하는 이름없는 한 대간길 나그네의 노래는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2004년 10월 10일

백두대간 종주를 끝내고

백두대간(白頭大幹)이란?
 

설악산 공룡능선 1275봉서 뒤돌아 본 모습.    간이란 큰 줄기를 뜻하며, 백두대간이란 백두산의 병사봉에서 시작하여 계곡이나 강을 건너지 않고 산줄기만으로 지리산 천왕봉까지 이어지는 큰 줄기를 말한다. 즉 우리 땅의 골간을 이루는 한반도의 등뼈이다. 이는 우리땅 전체의 남과 북, 하나의 대간으로 이어져 있음을 뜻한다. 백두대간에서 장백정간과 13개의 정맥이 갈라지면서 한반도는 비로소 삼천리 강산이 된다. 백두산을 뿌리로하여 하나의 대간, 하나의 정간, 열세 개의 정맥이 마치 나무의 줄기와 가지처럼 펼쳐지는 것이다. 백두산은 한반도의 모든 산줄기와 통하며, 우리 산의 시발점이며, 드넓은 만주대륙으로 뻗어나가는 정점이다. 이땅의 모든 산줄기가 백두산과 통한다는 개념은 우리의 전통적인 지리인식체계의 바탕이었다.
  백두대간은 그 길이가 약 1천4백여킬로미터에 달하며 고도는 1백미터에서 2천7백50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함경남도 흥남과 비슷한 위도의 마유령 북쪽은 모두 1천미터가 넘지만 그 아래 남쪽으로는 금강산(1,683m), 설악산(1,708m), 오대산(1,614m), 태백산(1,667m), 덕유산(1,614m), 지리산(1,915m)만이 1천5백미터 이상이다.
  백두대간이 완성된 개념으로 알려진 것은 조선 후기 여암 신경준의「산경표(山經表)」에 의해서(1769년 영조 45년)이다. 총 102혈(쪽)의 한 책으로 우리네 족보와 같은 구성으로 씌여진 이 책에는 백두대간, 장백정간, 13정맥의 계통이 나타나 있다. 대간에서 갈래쳐 나온 산줄기는 모두 14개인데(1정간 13정맥) 이것들은 우리나라 열 개의 큰 강을 구획하는 울타리들이다. 그런 연유로해서 정맥이름 또한 에워싸고 있는 물길에서 따온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맥은 산줄기의 높이,규모,명산 등과 관계하지 않고, 아무리 낮고 미약한 김포평야의 낮은 구릉지대라도 한강 남쪽 유역을 가르는 능선이므로 중요한 한남정맥의 줄기가 된다.
  하나의 대간과 정간, 그리고 13개의 정맥, 여기에서 가지친 기맥으로 이 땅을 가늠한 산경은 이땅의 모든 생활영역의 자연스러운 분계를 이루고 있다. 배산임수의 취락형성과 발달, 그리고 식생활과 주거양식의 구분도, 언어권의 분포도, 옛 보부상의 상권과 오일장의 권역도 등이 산경의 산줄기로 쉽게 알 수 있다. 산지가 국토의 70%를 차지하는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산을 옳게 인식하는 것은 곧 국토를 옳게 인식하는 출발이자 끝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산을 물줄기처럼 끊어지지 않는 맥으로 보았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인 이유로 산과 강이 공존하여 산은 물을 낳고 물은 산을 가르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리하여 비록 높은 두 산이 이웃해 있어도 사이에 물이 있으면 산줄기는 돌아갔으며, 평탄한 지역의 독립봉이나 평야에도 면면이 지맥이 흘러 바다까지 이어졌다. 이것은 우리의 모든 산이 그 고저를 가리지 않고 나무의 가지와 줄기처럼 백두산으로 이어지는 전면적인 국토인식을 뜻한다.
  현재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고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산줄기의 개념(태백,소백,차령,노령,광주)은 일제 침략의 방책으로 고또분지로라는 지질학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고또분지로는 1902년부터 1904년까지 단 14개월 동안 한반도의 지질구조선에 대한 조사 작업을 벌였고, 이 결과들을 독일의 학회지에 발표하면서 정립되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 지질조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일합방이후 강행할 수탈의 기초 조사였다. 산맥의 기본개념은 일반적인 상식의 산줄기가 아니라 지질구조선 즉 암석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이것들의 삼차원적 배치를 기본선으로 하고 있다. 즉 땅 속의 지질구조선을 기본 골간으로 삼은 것이다. 이와같이 일제에 의해서 성립되고 만들어진 산맥개념을 교과서를 위시한 모든 정부 공인기관과 단체에서 50년 동안이나 아무런 문제제기 없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백두대간은 오천년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이어져온 한민족의 공간적 터전이다. 통일조국의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우리 산줄기의 기본 개념인 백두대간을 원상복구하는 것은 민족의 자존심과 동질성을 회복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아울러 교과서 등에 사용하고 있는 잘못된 산맥의 명칭도 전래되어온 우리 고유의 산줄기 이름으로 바꾸는 노력이 시급하다.

   patrn04b.gif 백두대간은 한줄기, 철조망이 걷히는 그날이 오면

  백두대간(白頭大幹)이란 지리산 천왕봉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 물을 건너지 않고 이어지는 분수령을 말한다. 우리가 사는 한반도는 모든 산맥이 백두산 하나에 매달려 있다. 다알리아나 땅콩, 감자를 한 포기 뽑으면 줄기 하나에 숱한 뿌리들이 딸려 나오듯이, 우리 땅의 산줄기들도 백두산을 정점으로 하는 1대간(大幹), 13정맥(正脈)에 조롱조롱 매달려 있는 것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1정간·13정맥을 알면, 그 산줄기로 인해 갈리는 10대 강줄기(압록강·두만강·청천강·대동강·예성강·임진강·한강·금강·섬진강·낙동강)들까지 완연히 드러난다.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산줄기 지도를 그렸고, 산줄기 지도를 보면서 강줄기를 함께 알아 보았다. 각 지역들은 큰 산줄기들이 팔 벌려 껴안고 있는 강줄기 주변에 오순도순 삶터를 열고 있다. 그러므로 산줄기 지도를 읽을 줄 알면 국토의 전모와 각 지역의 위치, 특성들이 한 눈에 들어온다. 우리 선조들은 이처럼 우리 국토를 나름대로 인식하고 장점을 활용하는 독특한 방안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각 산줄기를 강줄기와 연계하여 족보식으로 서술해 놓은 책이 <산경표(山經表)>다. 그 산줄기 지도를 가장 정확하게, 자세히 그려 놓은 지도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다. 그러나 이 자료들에도 오류는 있었다. 과학의 도움을 받을 수 없었던 시기의 산물들이기 때문이다. 이제 다행히 남과 북이 공히 정밀지도를 제작하여 보유하고 있다. 일제의 개입, 주권의 상실과 함께 잊혀지고 변형되었던 우리 고유의 산줄기들의 이름 복원이 시급하다.
  외세의 침입과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국토는 분단되고, 국토의 등뼈인 백두대간 또한 남북으로 나뉜 채 반세기를 넘고 있지만 백두대간은 분명히 죽지 않고 살아 있다. 그것이 우리에겐 희망이다. 살아 있는 백두대간! 분단의 아픔을 훌훌 털고 일어서야 할 우리 국토의 등뼈! 분단된 국토와 민족을 하나로 이어주고 있는 굳건한 끈이며, 민족정서를 통일의 장으로 이끌 수 있는 공통분모! 우리 민족에게 백두대간은 결코 꺼트려서는 안 될 희망의 불씨인 것이다.

   patrn04b.gif 백두대간 총 길이는 도상거리 약 1,577㎞, 실제거리 약 2,103㎞

  지리산 천왕봉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 이어지는 백두대간 총 길이는 도상거리로 약 1,577㎞이며, 실제거리는 약 2,103㎞이다. 우리 이수(里數)로 환산하면 5,257리나 되는 산길인 셈이다. 이 수치들은 백두대간 전구간을 최대한 가는 선으로 이어서 커비미터(curvimeter)로 측정한 것이고, 실제거리는 도상거리를 삼등분하여 그 중 1/3을 더한 것이다.

   patrn04b.gif 지리산 천왕봉서 삼재령까지 남한쪽 백두대간 도상거리 약 666㎞, 실제거리 888㎞

  진부령 이후의 백두대간은 칠절봉~둥글봉~향로봉~고성재~삼재령으로 이어진다. 삼재령까지가 남한 구역이다. 인제군 서화면과 고성군 수동면 경계에 있는 삼재령[(삼치령三峙嶺)이라고도 한다]은 현재 비무장지대에 들어 있다. 또 진부령 이후는 군사지역이어서 출입이 불가능한 상태다. 진부령~삼재령은 도상거리 약 26.5㎞로 실제거리는 35㎞ 남짓 된다. 지리산 천왕봉에서 진부령까지는 도상거리로 약 640㎞이다. 따라서 남한쪽 백두대간은 지리산 천왕봉에서 삼재령까지며, 도상거리 약 666㎞이고 실제거리는 약 888㎞이다.

   patrn04b.gif 북한쪽 백두대간은 휴전선상 삼재령서 백두산 장군봉까지 도상거리 약 910㎞

  북한쪽 백두대간은 휴전선상에 있는 삼재령에서 백두산 장군봉까지로 도상거리 약 910㎞, 실제거리는 약 1,210㎞이며, 북한 쪽이 남한 쪽보다 도상거리 248㎞, 실제거리 310㎞ 정도가 더 길다.
  삼재령을 거친 백두대간은 무산(巫山·1,320m)~금강산 비로봉(1,638.2m)~온정령(853m)~법배령(870m)~철령(685m)~풍류산(1,023.8m)~추애산(1,529.8m)~백암산(1,229m)~복희령(1,022.4m)~두류산(1,323m)~재령산(1,208m)~거산령(900.6m)~용풍산(1,549.9m)~마유령(972m)~모도봉(1,832.8m)~노란봉(1,735.3m)~마대산(1,744.5m)~금패령(1,676m)~후치령(1,335m)~희사봉(1,760.3m)~동점령산(1,925.8m)~대각봉(2,121m)~백사봉(2,098.6m)~아무산(1,802.6m)~북포태산(2,289.1m)~소백산(2,173.9m)~대연지봉(2,359.5m)
~백두산 장군봉(2,750m)으로 이어진다. 북한 쪽 백두대간상에는 희사봉·대각봉·백사봉·황봉·북포태산·소백산·간백산 등 2,000m가 넘는 봉우리들도 10개가 훨씬 넘는다.

1대간 1정간 13정맥이란?

circle11_pink.gif 백두대간(白頭大幹)
  백두산(2,750m)에서 시작하여 원산, 낭림산, 금강산을 거쳐 태백산까지 내려와 속리산에서 다시 지리산까지 뻗은 제일 큰 산줄기이다. 한반도를 관통하며 큰 획을 긋고 있다.

circle11_pink.gif 장백정간(長白正幹)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 수성천의 분수령이다.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일어나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궤상봉(2,541m), 관모봉(2,541m), 도정산(2,201m)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로 관통하는 산줄기이다. 도정산 이후 산세가 죽어들어 이후 고성산(1,756m), 차유령, 백사봉(1.138m), 송진산(1,164m)으로 이어져 두만강 하구 서수라곶에서 끝을 맺는다.

circle11_pink.gif 낙남정맥(洛南正脈)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이다.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하하다 옥산(614m)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곡산(543m), 여항산(744m), 무학산(763m), 구룡산(434m), 대암산(655m)을 거쳐 낙동강 하구를 지키는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청북정맥(靑北正脈)
  평안북도 내륙을 관통하며 압록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룬다.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을 지나 서쪽으로 흐른다. 갑현령(1,001m), 적유령(964m), 삼봉산(1,585m), 단풍덕산(1,154m)을 지나 온정령(574m)에서 산세가 수그러들어 신의주 남쪽 압록강 하구의 마곶산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청남정맥(靑南正脈)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이 첫산이며 청천강의 남쪽 유역과 대동강의 북쪽 유역을 경계하는 분수령이다. 청남정맥의 으뜸산은 묘향산(1,365m)이며, 이후 산줄기는 용문산(1,180m), 서래봉(451m), 강룡산(446m), 만덕산(243m), 광동산(396m)을 지나 용강의 남포에서 대동강 하구 광량진으로 빠진다.

circle11_pink.gif 해서정맥(海西正脈)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지방의 문화권역을 경계하고 있는 분수령이다. 백두대간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서남쪽 개연산에 이르러 다시 북상하다 언진산(1,120m)에서부터 남하하기 시작하여 멸악산(816m) 지나 서해의 장산곶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루며 북쪽으로는 임진강, 남쪽으로 예성강의 분수령이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학봉산(66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 송악산(488m)을 지나 정맥의 끝은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점 즉 개성의 남산인 진봉산(310m)이다.

circle11_pink.gif 한북정맥(漢北正脈)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서울 도봉·북한산(837m), 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지점인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낙동정맥(洛東正脈)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동해안 지방의 담장이다. 천의봉(매봉산,1,303m)에서 시작하여 태백 백병산(1,259m), 통고산(1,067m), 울진 백암산(1,004m), 청송 주왕산(720m), 경주 덕석산(829m), 울산 가지산(1,240m), 신불산(1,209m), 부산 금정산(802m)을 지나 백양산(642m)을 넘어 다대포 몰운대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이 갈라지면서 한남금북정맥은 끝이 난다.

circle11_pink.gif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한다.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된다. 백운산, 보개산, 수원 광교산(582m), 안양 수리산(395m)을 넘으면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 가현산(215m)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circle11_pink.gif 금북정맥(錦北正脈)
  금강의 북쪽 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 후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다 성왕산(252m), 백화산(284m)를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circle11_pink.gif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장수 영취산(1,076m)에서 시작하여 장안산(1,237m), 수분현(530m), 팔공산(1,151m), 임실 성수산(1,059m), 진안 마이산(667m), 진안 부귀산(806m)에서 끝난다.

circle11_pink.gif 금남정맥(錦南正脈)
  전주의 동쪽 마이산(667m)에서 북으로 치달아 대둔산(878m), 계룡산(828m)을 거친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여 부소산 조룡대에서 끝난다. 금강의 온전한 남쪽 울타리를 이루지 못하는 이 산줄기는 운장산 지나 왕사봉에서 남당산~까치봉~천호봉~미력산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circle11_pink.gif 호남정맥(湖南正脈)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문화권을 구획하는 의미있는 경계선이다. 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이다.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래친 후 강진 만덕산(762m)을 처음 만나고 이후 내장산(763m), 추월산(729m), 무등산(1,187m), 제암산(779m), 조계산(884m) 등 남도의 큰산을 지나 광양 백운산(1,218m)이 끝이다. 백운산에서 아쉬운 산자락의 여운은 백운산 남쪽을 달려 섬진강을 휘감으며 망덕산(197m)에서 비로소 끝난다.

☞  백두대간 자료실  ☜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이란 무엇인가?
   -
1대간 1정간 13정맥이 나무줄기.가지처럼
   - 잊혀진 백두대간 1980년대에 부활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종주등반 진행순서
   - 마룻금 긋기는 가장 중요한 일
   - 하루 10㎞, 10시간 운행이 적당
   - 종주후에는 기록으로 마무리
square49_pink.gif 1대간 1정간 13정맥
   - 백두대간, 장백정간, 낙남정맥, 청북정맥, 청남정맥, 해서정맥, 임진북예성남정맥, 한북정맥, 낙동정맥, 한남금북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금남정맥, 호남정맥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24구간별 산행길잡이
  - 구간고도표, 산행거리표, 길 찾기에 주의할 곳, 야영지와 샘터, 교통, 숙박 

square49_pink.gif 잃고 헤매기 쉬운 난구간 베스트 10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을 종주하는 이들을 위하여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의 산마을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종주를 위한 길잡이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24구간별 등산지도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개념도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한국의 산하)
  -
백두대간의 부활, 백두대간이란 무었인가, 태백산맥은 일본 지질학자가  명명한 이름, 산은 물을 넘지 않는다는 대원칙, 백두대간은 1대간, 1정간, 13정맥, 백두대간 종주, 백두대간 종주요령, 백두대간 개념도, 백두대간 관련사이트, 백두대간 관련자료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종합자료실
square49_pink.gif 백두대간 종주기

출처 : 崔明宇의《玄空風水硏究所》
글쓴이 : 雲 炅(鄭容基)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