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산행지설명/전라도

내장산..전북정읍

다우리산사랑 2008. 8. 27. 18:30

 

 


전북 정읍시 용산동,내장동.순창군 복흥면 화양리

 

 

내장산(內藏山 763m)은 영음산(靈陰山)이라고도 한다. 노령산맥의 중간 부분에 있으며 신선봉(神仙峰 763m)을 중심으로 연지봉(蓮池峰 720m), 까치봉(680m), 장군봉(670m), 연자봉(660m), 망해봉(640m), 불출봉(610m), 서래봉(580m), 월령봉(420m) 등이 동쪽으로 열린 말발굽 모양으로 둘러서 있다.

신선봉, 장군봉 등에 있는 굴거리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었다. 가을철 단풍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꼽혔다. 내장산은 국립공원(1971년 11월 17일 지정)으로 호남지역의 3대 명산 중의 하나이며 단풍으로 말할 때에는 우리나라 최고의 산으로 꼽히는 명산이다.

산행의 들머리는 일주문 직전에 위치한 벽련암과 백련수 안내판이다. 길은 초입부터 급하게 시작되지만 그리 험하진 않다. 10 여분이면 식수를 구할 수 있는 백년수에 닿는다. 백년수 이후론 능선 오르막이 벽련암까지 이어진다. 벽련암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나면 이후론 등줄기가 축축해질 정도로 급한 오르막을 올라야 한다.

이길은 서래봉 전의 안부로 올라서는데 이후론 암릉의 시작이다. 서래봉 1봉에서 3봉까지는 암릉구간으로 1km정도다. 서래3봉을 지나면 길은 암릉을 타고 직진하는 길과 내장저수지쪽으로 우회하는 길이 갈라진다. 내장저수지 내리막은 불출봉 갈림길을 지나 서래약수에 닿게 된다. 서래봉에서 불출봉까지는 1시간 거리다.

불출봉에는 6.25때 소실된 불출암터가 있으며 샘터가 남아있다. 불출봉에서 망해봉까지는 40분 거리로 평탄한 능선길이다. 줄포가 보인다는 망해봉에서 원적암으로 내려서는 길은 휴식년제에 묶여있다. 망해봉에서 671m의 연지봉은 지척이며 평탄한 능선길이 까치봉 오름 전까지 이어진다. 망해봉에서 40분이면 까치봉에 닿는다. 까치봉에선 동쪽의 용굴로 하산하는 길이 갈라진다.

내장산의 주능선은 남쪽으로 10 여분이면 백암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갈라진다. 신선봉 오름은 남동쪽이며 남서쪽이 수둥근재로 가는 길이다. 까치봉에서 내장산 최고봉인 신선봉까지는 40분 거리로 연신 오르막을 올라 쳐야 한다. 신선봉 아래론 내장산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금선대가 있다.

신선봉에서 동쪽의 안부로 내려서면 식수를 구할 수 있는 샘터로 30분이면 연지봉에 이를 수 있다. 종주중 시간의 여유가 없다면 이곳에서 일주문으로 하산해도 된다. 양지봉부터는 평탄한 능선이라 순창과 정읍시 일대를 조망할 수 있으며 장군봉을 거쳐 유군재에서 동구리 마을로 하산하면 된다.

경관과 산행 묘미 뛰어난 서래봉 코스
내장산 최고봉은 신선봉(763.2m)이지만, 경관과 산행의 묘미 면에서 더욱 뛰어난 서래봉(일명 써레봉)을 거치는 코스가 더 인기 높다. 백양사 일주문~백련암~능선 삼거리 코스가 주능선에 올라서기에 가장 빠른 길로, 대개 이후 능선을 따라 서래봉을 오른 다음 불출봉과 망해봉, 연지봉, 까치봉을 거쳐 금선계곡으로 내려선다(6시간).

체력이 약한 사람은 불출봉에서 원적암을 거쳐 내장사로 내려서도록 한다(약 4시간). 단풍 피크 때에는 혼잡한 일주문에서 단풍터널(매표소~일주문 400m) 구간을 피해 아예 산 바깥쪽 내장저수지 남측의 서래봉 매표소에서 산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서래봉~백련암~일주문 코스가 가장 짧다(약 3시간).

신선봉 경유 내장사 원점회귀 코스
최고봉인 신선봉 코스는 대개 완만한 금선계곡을 거슬러 까치봉에 올라선 다음 신선봉과 연자봉을 거쳐 내장사로 내려서거나(4시간), 체력에 자신있는 이들은 장군봉을 거쳐 유근치까지 뽑은 다음 동구리로 내려선다(5시간). 금선폭포를 탐승하려면 신선봉과 연자봉 사이의 신선약수 삼거리에서 금선계곡으로 내려서도록 한다.

능선 접근 가장 쉬운 추령 코스
버스를 이용한 단체 산행일 경우, 추령 고갯마루에서 시작하기도 한다. 해발 200m대의 내장사 기점에 비해 100m 이상 고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산행이 쉽고, 문화재관람료가 추가되지 않아 능선상의 유군치 매표소에서 공원 입장료만 내면 된다. 유군치까지는 능선이 완만해 30분이면 오를 수 있다.

말발굽형 주능선 일주 코스
내장사를 가운데 두고 말발굽형의 산세를 이룬 주능선 일주는 내장산의 진면목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좋은 코스다. 하지만 굴곡이 심한 능선 종주산행은 체력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만만치 않으므로 식수와 간식을 충분히 준비하고 나서야 한다. 늦가을에는 아침 일찍 출발해야 가능하다(약 9시간).

케이블카를 이용한 탐승 코스
최고봉인 신선봉을 가장 짧은 시간에 다녀오려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케이블카는 길이 800m에 5분이면 올라갈 수 있으나, 단풍철에는 탐승객이 몰려 한두 시간씩 기다리는 일이 허다하다.

백암산 최고 인기 백양사 원점회귀 코스
백학봉 학바위를 거쳐 최고봉인 상왕봉에 올랐다가 백양계곡을 따라 다시 백양사로 내려오는 코스가 가장 일반적이다(4시간30분). 체력이 약한 사람은 백학봉을 지나 첫 번째 갈림목에서 왼쪽 길을 따라 백양계곡으로 내려선다. (3시간) 매니아들은 사자봉 남릉을 따르다가 청류동계곡을 거쳐 매표소로 내려선다(5시간30분).

장성새재 코스
장성새재~순창새재 길은 고즈넉한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산길이다. 산행 기점은 장성군 북이면 신성리 전남대수련원과 정읍시 신정동 입암 매표소로, 어느 쪽에서 시작하든 장성새재까지 임도가 잘 닦여 있어 쉽게 오를 수 있다. 고갯마루 삼거리에서 동쪽 우마차 길로 접어들면 독가촌인 불바래기 마을을 거쳐 순창새재로 올라선다(약 2시간). 순창새재에서 북동 능선을 따르면 내장산 까치봉, 남쪽 능선을 따르면 백암산 상왕봉으로 이어진다.

※ 산행코스
• 내장사→서래봉→내장사 코스(3시간 40분)
• 내장사→연지봉→신선봉→내장사코스 (4시간 10분)
• 내장사→(1시간)→연지봉→(40분)→문필봉→(30분)→신선봉→(40분)→까치봉→(1시간 20분)→내장사
• 내장사→(40분)→벽련암→(1시간)→서래봉→(1시간)→불출봉→(30분)→원적암→(30분)→내장사
• 백양사→백학봉→신선봉→연지봉→내장사(10.5m 6시간)

※ 교통정보
• 서울→정읍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호남선에서 40분 간격(06:30~20:00), 23:00 야간우등고속 운행. 3시간 소요. 요금 일반고속 12,600원, 우등고속 18,500원, 야간우등 20,400원. 금호고속 02-535-4127, 중앙고속 02-530-6211.
• 인천→정읍 종합터미널(032-430-7114)에서 1일 3회(11:40~16:30) 운행. 3시간20분 소요, 요금 16,700원.
• 부천→정읍 고속터미널(032-326-5927)에서 1일 3회(09:30~15:30) 운행. 3시간20분 소요, 요금 16,300원.
• 성남→정읍 종합터미널(031-781-8668)에서 1일 4회(08:50~16:45) 운행. 2시간40분 소요, 요금 14,000원.
• 전주→정읍 공용버스터미널(063-270-1700)에서 수시(06:20~22:00) 운행. 1시간 소요, 요금 3,100원.
• 광주→정읍 종합버스터미널(062-360-8800)에서 30분 간격(06:30~21:30) 운행. 1시간10분 소요, 요금 3,600원.
• 부산→정읍 서부시외버스터미널(051-322-8301~2)에서 1일 2회(09:10, 11:00) 출발. 5시간 소요, 요금 18,200원.

• 정읍→내장사 입구 공용버스터미널(063-535-6011)에서 30분 간격(07:30~20:30) 운행하는 직행버스나, 정읍역·터미널을 경유 20분 간격 운행하는 시내버스 이용. 15분 소요, 요금 1,100원. 버스종점인 관광단지에서 내장사 일주문까지 약 3km. 전화 063-535-6011.
• 정읍→추령 공용버스터미널에서 1일 7회(08:40, 09:50, 10:50, 15:00, 17:10, 18:30, 19:30) 출발하는 복흥 경유 순창행 임순여객 이용. 30분, 요금 1,400원. 임순여객 전화 063-643-3100(임실).

• 서울 용산역에서 정읍행 열차가 오전 5시20분부터 수시로 다닌다. 고속철도 요금은 일반 3만3,400원, 약 2시간20분 걸리며, 새마을호는 요금이 2만7,000원, 3시간20분 걸린다. 무궁화호는 약 3시간40분이 소요되며 요금은 1만8,100원이다. 정읍에서는 버스터미널 밖 버스정류소에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171번 시내버스를 타면 된다. 내장터미널이 종점이며 30분 소요에 1,100원이다.

• 자가용을 이용해 서울에서 출발할 경우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줄포IC에서 정읍 방면 29번 국도를 타거나, 경부고속도로-천안논산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를 타고 정읍IC로 나오면 된다.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 조건 변경 허락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상동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상동
도움말 Daum 지도
댓글이 0개 달렸습니다.
Posted by 꿈꾸는멍충이

'명산산행지설명 >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운산.경수산..전북고창  (0) 2008.08.27
방장산..전북고창  (0) 2008.08.27
강천산..전북순창  (0) 2008.08.27
산성상.광덕산..전북순창  (0) 2008.08.27
고정봉..전북남원  (0) 2008.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