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2/23 18:30
23
•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고은1리,동면 상걸리.홍천군 북방면 북방리
대룡산(大龍山 899.3m)은 근래에 이르러 산자락에 주둔했던 군부대가 줄어들면서 대룡산에도 산책을 즐기는 시민들을 비롯한 등산인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산행 코스는 주능선을 경계로 대중교통편이 편리한 서쪽(시내쪽)에서 오르내리는 코스들이 많이 이용된다.
시내 방면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가장 짧은 코스인 고은리 코스가 가장 인기 있다. 다음으로는 고은리 북쪽 거두리와 만천리에서 북릉 갑둔이고개를 경유하는 코스가 많이 이용된다. 만천리 북쪽에서는 구봉산~명봉~갑둔이고개 북릉, 그리고 느랏재에서 북릉~갑둔이고개 경유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가 인기 있다.
동쪽 상걸리 방면에서는 상걸1리 길골~갑둔이고개~북릉, 상걸2리 종점~잣밭골~춘천지맥~899m봉을 경유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남쪽은 녹두봉 군사시설로 대부분이 출입금지구역이다. 이 방면에선 수리봉과 수리봉에서 녹두봉으로 이어지는 군사도로를 이용하는 코스만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거두리 신동농협 농산물집하장을 지나면 버스정류소 사거리다. 이곳에서 버스를 내린다. 버스는 왼쪽(서쪽) 거두2리 마을회관 앞 종점까지 들어갔다가 회차해서 다시 사거리로 나온다. 사거리에서 오른쪽 마을길로 약 150m 가면 방아교를 건너 느티나무 정자 아래 삼거리에 닿는다.
왼쪽 축사쪽으로 3~4분 가면 삼거리(봄내 호스피스 300m→)가 나오고, 왼쪽으로 5분 가면 비료창고인 비닐움막 앞(↑구봉산 6.4km,↑명봉 2.4km,↑대룡산 4.9km)에 닿는다. 비닐움막에서 오르막으로 6~7분 가면 큰 묘 2기(왼쪽)와 하얀 집(오른쪽) 사이로 들어서서 약 100m 가면 차단기가 있다.
차단기를 지나면 옥수수와 콩밭이다. 밭 왼쪽으로 약 30m 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오른쪽 계곡은 갑둔이고개 방면 계곡인데 출입금지구역이다. 등산로는 왼쪽 사면으로 이어진다. 사면 지그재그길로 15분 오르면 오른쪽 아래로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지점에 닿는다.
여기서 U자형으로 패인 지능선 마루를 넘어 사면 길(북쪽)로 10분 오르면 하늘이 트이는 묵밭에 닿고, 오른쪽 사면 길로 5분 오르면 지나온 U형으로 패인 지능선 상단부를 넘어선다. 사면으로 이어지는 길 50m거리에서 작은 계류를 건너 U자형으로 패인 길을 따라 3~4분 가면 샘터 삼거리에 닿는다.
샘터 오른쪽 사면길이 북릉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이 지름길로 7~8분 가면 갑둔이고개 방면과 만나는 북릉 안부(←명봉 1.4km, ↓거두리 2.5km, 대룡산 2.9km→ 푯말)에 닿는다. 샘터 왼쪽 계곡길로 8~9분 거리인 갑둔이고개(←구봉산 4.5km, ←느랏재 3.5km, ←명봉 0.7km, ↓거두리 1.8km, 대룡산 3.1km→)를 경유해도 된다.
갑둔이고개에서 오른쪽 북서릉으로 6~7분이면 샘터 방면 지름길과 만나는 안부다. 샘터 갈림길에서 북릉으로 5분 가면 사거리 안부에 닿는다. 안부 양쪽으로 흐릿한 길은 정식 등산로가 아니다. 아름드리 잣나무숲 오르막을 6~7분 오르면 휴식장소에 닿는다.
길은 능선을 벗어나 오른쪽 사면으로 이어진다. 5~6분 가면 648봉 지능선이 마주보이는 임도로 들어선다. 이 임도는 최근에 신설된 것으로, 서쪽 거두리 방아골 마을과 신촌리 자개울 마을에서 북릉 서쪽 사면으로 이어진다. 임도에서 계속 임도를 타고 가도 되고, 임도 건너 648봉 사면 길을 올라도 3분 거리에 임도와 다시 만난다.
이곳에서 임도 건너 절개지 위 지능선으로 올라 3~4분 가면 길은 오른쪽 사면으로 이어진다. 5분 이면 북릉으로 들어서고, 3분 더 가면 송신탑과 정상이 보이는 헬기장으로 들어선다. 헬기장에서 3~4분 오르면 774봉 직전 삼거리에 닿고, 오른쪽 사면길로 3분 가면 다시 능선길과 만나 이어 6~7분 가면 고은리 갈림길(↑고은리 0.9km,고은리 0.3km→,↓거두리 4km,↓명봉 2.9km)이 나온다.
푯말의 거리 표기는 거두리와 명봉까지는 거의 맞지만, 고은리까지 거리는 황당하리만큼 차이가 난다. 고은리 갈림길에서 4~5분 오르면 왼쪽(동쪽)으로 절벽 안부를 지나 5분 더 오르면 839봉 오른쪽 사면으로 이어진다. 3~4분 오르면 다시 능선길이 나오고, 6~7분 더 가면 송신탑에 닿는다.
송신탑에서 왼쪽으로 20m 오르면 춘천지맥 상의 삼거리(↓거두리,명봉 4.7km,정상 0.2km→)다. 왼쪽 20m 위 헬기장은 899봉이다. 오른쪽 춘천지맥을 타고 3~4분 가면 정상이다.
고은소류지~수뢰관폭포~춘천지맥~정상
이 코스는 춘천시내에서 정상으로 접근이 가장 짧은 코스다. 여기에다 시내버스가 가장 많이 들어가고(26번 버스 1일 14회 운행), 버스종점 앞에 대형 주차장도 있다. 흠이라면 화장실이 없다는 것이다. 버스종점 동쪽에 대룡산 대형 등산안내판과 입산통제소가 있다.
입산통제소 오른쪽 차단기를 지나 약 40m 가면 오른쪽으로 징검다리를 건넌다. 징검다리 건너 약 50m 가면 이동화장실이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왼쪽으로 계류를 건너면 또 삼거리(대룡산 3.4km→)가 나온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7~8분 오르면 묵밭이 나오고, 묵밭 상단 숲길로 들어 10분 가량 오르면 오른쪽 수뢰관폭포 방면 길과 만나는 사거리(←정상,능선 2.6km, ↓고은리 0.8km)에 닿는다. 종점에서 이곳까지 약 25분이 소요된다.
수뢰관골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안내 푯말이 없다. 오른쪽 수뢰관골 협곡에는 볼만한 폭포가 있다. 약 60도 경사에 상단 약 10m, 하단 약 20m 되는 2단 폭포로 폭포 아래에는 기도터가 있다. 사거리에서 20분이면 다녀 올 수 있다.
수뢰관폭포를 먼저 들르려면 버스종점 전 소류지 오른쪽 삼거리(←보라매농원 푯말)에서 직진, 10분 거리인 빨간 지붕집을 지나 왼쪽으로 계류를 건너간 기도터에서 30m 더 가면 폭포 하단부에 닿을 수 있다. 사거리 푯말에서 왼쪽 소나무숲으로 들어서면 능선길이 시작된다.
능선길로 5~6분 오르면 나오는 쌍묘를 지나 곧 나타나는 통나무 계단길을 오르면 U자형으로 패인 길로 이어진다. 전투용 참호로 보인다. 능선길에서 불과 십수m 거리에 버젓이 지계곡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토벽 높이가 어른 키를 넘는 U자형 능선길을 따라 10분 올라가면 패인 길을 빠져나와 능선마루로 이어진다. 이후 수천 평 넓이 잣나무숲 오른쪽으로 난 능선길로4~5분 오르면 휴식장소에 닿는다. 휴식장소를 뒤로하면 또 U자형으로 패인 능선길로 들어간다. 이 길은 7~8분 거리에서 끝나고 두 번째 휴식장소로 들어선다.
두 번째 휴식장소에서 5~6분 오르면 상수리나무 숲 아래 세 번째 휴식장소에 들어선다. 세 번째 휴식장소를 뒤로하고 8~9분 오르면 나오는 삼거리에서 왼쪽 사면으로 가는 길은 북서릉 임도 방면 길이다. 직진하는 길로 5분 오르면 남릉(춘천지맥) 임도(←정상 0.5km, ↓고은리 2.9km 푯말)로 올라선다.
임도 건너 절개지로는 통나무 계단길이 마주보인다. 이 곳에서 정상으로 가는길은 두 코스가 있다. 왼쪽 임도를 따르면 7분 거리에서 남서릉 안부(춘천지맥)에 이른 후, 안부에서 4~5분 오르면 정상비석(삼각점 내평 25)에 닿게 된다.
또는 임도 건너 절개지 통나무 계단을 올라 5~6분 올라가면 춘천지맥 지뢰지대 출입금지 경고판이 있는 능선에 닿는다. 경고판 왼쪽으로 휘는 능선길로 2분 거리에 이르면 다시 임도와 만나는 안부에 닿는다. 안부에서 직진, 가파른 능선길로 4~5분 오르면 대룡산 정상이다.
※ 산행코스
• 고은소류지 종점→수뢰관폭포→임도→남서릉→대룡산 정상(3.5km, 1시간 30분)
• 거두리 사거리 버스정류소→방아골→샘터→갑둔이고개→북릉→헬기장→송신탑→대룡산 정상
• 거두리 사거리 버스정류소→방아골→샘터→오른쪽 사면길→북릉→헬기장→송신탑→대룡산 정상(6km, 2시간 30분)
※ 교통정보
• 서울→춘천 동서울터미널(전철 2호선 강변역)에서 직행 1일 61회(06:00~21:45), 대성리~청평~가평 경유 직통 44회(06:15~22:00), 상봉터미널에서 청평~가평 경유 28회(06:00~21:30) 운행하는 버스 이용.직행 1시간30분 소요, 직통 1시간50분 소요.
• 수원→춘천 종합터미널(하이파킹)에서 직행 1일 9회(07:40~18:20), 금곡~청평~가평~강촌 경유 직통 1일 12회(06:00~19:40) 운행. 2시간~2시간30분 소요.
• 성남→춘천 종합터미널(전철 분당선 야탑역 4번 출구 테마폴리스 지하 1층)에서 1일 12회(07:35~19:35) 운행. 1시간40분 소요.
• 원주→춘천 1일 27회(06:40~20:30) 운행. 1시간10분 소요.
• 홍천→춘천 20분 간격(07:10~22:40) 운행. 50분 소요.
• 열차편 청량리역에서 1일 19회(06:15~21:30) 운행하는 남춘천행 이용.
• 춘천→고은리 후평동 종점 발 소방서~향군회관~동부시장~시청~중앙로~약사아파트~남부시장~강원대학교~춘천교대~극동아파트~동내면사무소~고은리~거두리 경유 26번 시내버스 1일 14회(06:00~22:30) 운행. 고은소류지를 지난 보라매농원 옆 회차종점 하차. 후평동 기점 고은리 회차종점 30분 안팎 소요.
• 고은리→춘천 상기 26번 버스 1일 14회(06:30, 07:20, 07:25, 09:10, 10:00, 11:40, 13:30, 15:4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운행.
• 춘천→거두리 상기 26번과 24번 버스 1일 17회(06:00~22:30) 거두리까지 연장운행. 방아골 입구 사거리 하차. 26번은 방아골 입구 서쪽 거두2리 마을회관, 24번은 방아골 안쪽 방아교가 종점이다.
• 거두리→춘천 26번과 24번 버스 1일 17회(06:40~23:00) 운행. 이 버스편은 들어온 코스를 역으로 신촌1리~동내초교~동내면사무소~춘천교도소 입구~석사 삼익아파트~극동아파트~중앙파출소~8호 광장~호평동으로 운행한다.
• 춘천→만천리 중앙로 중앙시장 앞에서 91번 버스 1일 9회(07:20, 08:20, 10:20, 12:40, 14:30, 17:10, 19:00, 21:00, 22:40) 운행. 만천리 북쪽 구봉산휴게소 방면은 버스편 없음.
• 춘천→상걸리 중앙로 중앙시장~시청 건너편과 8호 광장 정류소에서 76번 버스 1일 3회(08:10, 14:00, 19:30) 운행. 요금 1,100원. 30분 소요.
• 상걸리→춘천 종점에서 느랏재 경유 1일 4회(07:20, 09:20, 14:55, 20:20) 운행. 춘천→원창4리 중앙시장 앞에서 원창리~굴지리행 41번, 43번 버스 1일 12회(05:50, 06:15, 07:30, 08:45, 09:35, 11:00, 이후 막차 20:45) 운행.
• 원창4리→춘천 상기 41번, 43번 버스가 종점에서 회차 후 이곳을 지나는 데 35분 걸린다. 대동·대한운수 안내전화 033-254-6925, 254-5990.
• 춘천 콜택시 전화 033-255-5454.
'베스트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충주.문경] 마패봉 등산지도 (0) | 2012/12/23 |
---|---|
[울산.양산] 대운산.불광산 등산지도 (0) | 2012/12/23 |
[춘천.홍천] 대룡산 등산지도 (0) | 2012/12/23 |
[산청] 둔철산 등산지도 (0) | 2012/12/23 |
[가평] 대금산 등산지도 (0) | 2012/12/23 |
[인제.양양] 등선대 등산지도 (0) | 2012/12/23 |
댓글이 0개 달렸습니다.
TAG 강원도, 춘천, 춘천지맥,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 대룡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