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산행지설명/경기도

북한산-서울.경기고양

다우리산사랑 2008. 8. 29. 17:13

 

 


서울특별시 은평구,종로구,강북구,성북구.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북한산(北漢山 837m)은 삼각산(三角山), 화산(華山), 한산(漢山)이라고도 불리운다. 최고봉은 백운대(白雲臺)이며, 북쪽에 인수봉(仁壽峰), 남쪽에 만경대(萬景臺)가 있다. 산이 높고 깍아지른 듯 험준하여 등반하기 어려운 반면 주봉인 백운대 정상에 오르면 사방 백리 반경이 모두 발 아래 내려다 보여 그 경관은 실로 아름답다.

북한산성 일주코스
북한산 등산로는 계곡길이나 능선길 또는 사면으로 이어지는 어느 등산로를 오르건 주능선에 이르면 어김없이 북한산성의 성문이나 성곽과 만나게 된다. 또한 성문에서 방향을 바꿔 어느 방향으로 내려오는 경우에도 반드시 성문을 통과하게 된다. 그래서 먼저 거의 원형을 이루며 이어진 북한산성의 중요 포인트인 성문과 암문의 위치를 알아두면 각 방면 등산코스를 오르 내리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백운대에서 시작해보면.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성은 첫봉우리인 염초봉을 지나 원효봉에 이르는데, 그 사이에 북문이 있다. 이 성곽은 서아문에서 남쪽으로 꺾여 계곡에 이르러 물이 배출되는 수문을 이룬다. 수문을 지난 성곽은 곧이어 대서문(이 일대를 북한산성유원지라고 한다)에 이르고, 가파른 네 개의 암봉인 미륵봉, 용출봉, 용혈봉, 증취봉을 넘어 소남문인 부왕동암문으로 내려섰다가 나월봉과 나한봉을 지나 청수동암문으로 내려선다.

청수동암문에서 성곽은 다시 가파르게 치달아 문수봉으로 이어진다. 문수봉에서 남서쪽으로 성곽은 불광동 방향으로 길게 갈라져나간 암릉은 진흥왕순수비가 있는 비봉 능선이다. 문수봉에서 성곽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남문에 이르러 잠시 숨을 돌린다. 다시 백운대로 가서 반대 방향으로 대남문에 이르는 산성 일주코스를 돌아보면. 백운대에서 남쪽 아래 비좁은 바위 안부에 위문이 있다. 사실 백운대와 위문 사이에는 그럴듯한 성곽은 없다.

위문에서 백운대에 이르는 가파른 바위면이 자연적인 방어벽이다. 위문에서 만경대를 넘는 톱날 같은 암릉에도 성곽은 없다. 이곳도 만경대 암릉 동쪽(도선사 방면) 수십길 절벽이 자연 그대로의 성곽이었을 터다. 만경대를 내려서면 용암문이다. 이 용암문의 본래 이름은 용암봉암문. 여기서 남쪽으로 가까운 거리에 무너진 석탑 잔해 옆에 대피소(전 북한산장 자리)가 있는데 이 자리가 용암사 절터다.

용암문에서 성곽은 용암봉을 넘어 뚜렷한 정점이 없이 둥글게 솟은 반룡봉으로 이어진다. 성곽은 마치 활시위처럼 남서쪽으로 휘어지면서 자단봉에 올라 장대를 하나 세운다. 2층 누각인 동장대다. 자단봉에서 성곽은 남동쪽으로 살짝 휘며 내려서서 대동문을 만난다. 유명한 진달래능선이 바로 이 문에서 뻗어 내린다. 이 능선을 석가봉이라고 불렀다. 대동문에서 남서쪽으로 살짝 방향을 꺾어 이어지는 성곽은 다소 기복이 심한 능선으로 이어진다.

성곽이 정릉 방면으로 갈라져 내리는 칼바위 능선과 만나는 지점에 이르러 서쪽으로 방향을 틀자마자 안부에 이르러 또 옆구리가 뚫리는데, 이곳이 일명 소동문으로 불리는 암문인 보국문이다. 그 아래 보국사터가 있는데, 여기서 유래한 듯하다. 보국문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성곽은 두리뭉실한 봉우리를 넘어 V자 안부에 단층 누각이 얹혀 있는 대성문에 이른다.

대성문에서 남서쪽으로 치달아 오르는 능선 위로 이어지는 성곽은 보현봉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서쪽으로 휘어져 내린 다음, 대남문에 이르러 문수봉에서 이어져 온 성곽과 만난다.

※ 설명은 백운대에서 시작했지만, 북한산성 일주는 대개 대서문에서 시작해서 원효봉~염초봉~백운대~만경대~대동문~대남문~문수봉~의상봉을 돌아 다시 대서문으로 하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약 12km로 하루산행에 적당한 거리같지만, 도중에 암릉이 많아 아무리 북한산을 많이 찾았어도 암릉등반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는 위험하다. 당연히 초보자들이 준비없이 즐길 코스가 아닌 것이다.

※ 산행코스
• 도선사 주차장→우이대피소→인수대피소→백운대피소→위문→백운대1시간 40분)
• 도선사 주차장→도선사→용암문→위문→백운대(1시간 40분)
• 매표소→이준열사묘 입구→운가사→진달래능선→대동문→동장대→용암문→위문→백운대(2시간 20분)
• 아카데미하우스→구천계곡→구천폭포→대동문→동장대→용암문→위문→백운대(2시간 30분)
• 아카데미하우스→구천계곡→갈림길→칼바위능선→산성→대동문→동장대→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 우이초등교- 영락기도원→조병옥박사묘→갈림길→칼바위능선→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
• 화계사 입구→화계사→삼성암→칼바위능선→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40분)
• 정릉매표소→넓적바위→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 정릉매표소 - 삼봉사 - 영추사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3시간 30분)
• 북악터널입구→영불사→형제봉→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40분)
• 북악파크호텔→동령폭포→일선사→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10분)
• 구기터널입구→구기계곡→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45분)
• 구기터널입구→승가사→사모바위→승가봉→문수봉→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50분)
• 구기터널입구→연화사→금선사→비봉→사모바위→승가봉→문수봉→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4시간 10분)
• 불광중학교→향림담→비봉→사모바위→승가봉→문수봉→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4시간 20분)
• 진관사 입구→진관사→비봉→사모바위→승가봉→문수봉→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4시간)
• 삼천사→문수봉→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용암문→위문→백운대(3시간 40분)

※ 교통정보
• 백련사 입구나 아카데미하우스는 버스를 환승해 접근하는 것이 가장 편하다. 서울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서 내려 6번 출구로 나오면 버스 정류장이다. 이곳에서 4·19 사거리 방면으로 가는 녹색 1119번 버스로 환승한다. 수유역에서 15분 거리의 백련사 입구에서 하차하면 산길 입구가 보인다. 버스 종점에서 내려 도로를 타고 끝까지 걸어서 올라가면 아카데미하우스가 나온다.

• 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서 3번 출구로 빠져나와 중앙버스차선에서 우이동 방향 109, 120, 130, 144, 170, 171번 시내버스를 환승하면 우이동 종점까지 갈 수 있다. 문의 국립공원 북한산 우이분소 02-997-8365.

•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1번 출구 부근에서 북한산성행 704번·8772번·34번·350번 버스 이용. 북한산성 들머리에 대형 주차장 2개소가 있다. 중형 승용차 기준 이용료 최초 1시간 1,500원 이후 10분당 300원(성수기 350원). 21시간까지 최대 1만5,000원. 문의 북한산성분소 02-357-9698. 평일에는 제2주차장에서 1.2km 떨어진 북한동 식당가까지 차량으로 오를 수 있다.

 

저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 조건 변경 허락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 북한산
도움말 Daum 지도
댓글이 0개 달렸습니다.
Posted by 꿈꾸는멍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