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급 - 타의입산
휴일이면 TV리모컨을 쥐고 산다. 회사에서 결정된 산행에 어쩔수 없이 따라나선다.
<특징> 멀쩡한 하늘에서 갑자기 억수같은 비가 쏟아지기를.. 그래서 산행이 취소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놀부심보.
7급 - 증명입산
산이 좋아서라기보단 사진 찍으러 간다.
애써 걷기보다 물좋고 경치좋으면
장소 안가리고 스태플러 찍듯 찰칵찰칵 사진 찍느라
정신이 없다.
<특징> 경관 좋은곳을 배경으로 증명사진 찍는 버릇.
그 사진을 산에 갔다왔다는 증거로
활용.
6급 - 섭생입산
오로지 먹기 위해서 산에 간다. 배낭
가득히 먹을 거리를 챙기고 계곡을 찾아 퍼질러
앉고는 음식을 탐한다.
<특징> 엄청 먹었는데도 음식의 절반
이상이 남아, 다시 지고 내려오며 “아~ 왜 요즘
이리도 입맛이 없을까” 한다.
5급 - 중도입산
산행을 하긴 하되 꼭 중도에서 하산한다. 그리고 제 다리 튼튼하지 못함을 탓하지 않고
꼭 뫼만 높다 탓한다.
<특징
“정산에 꼭 가야되나? 뭐 정상에 올라가면 누가 밀가루 배급이라도 준단 말이냐?”
하며 자기합리화를 빠뜨리지 않는다.
4급 - 화초입산
줄곧 집에만 있다가 진달래, 철쭉꽃이 피는 춘삼월이나, 만산홍엽 불타는 가을이 되면
갑자기
산에 미친다.
<특징> 예쁜 꽃이나 단풍을 꼭 끼고 사진을 찍는다.
3급 - 음주입산
산을 좀 아는 인간이다. 그리고 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마셔야 산행이 완결된다며,
산을 열심히 찾는 이유가 성취감 뒤에 따르는
맛난 하산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특징> 술의 종류, 알콜도수, 값을 막론하고 그저 양만 많으면 된다는 두주불사형이
많다.
2급 - 선수입산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고, 산을 몇 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이
걸었다느니
하는걸 무지하게 자랑한다. 그러나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신통치 않다.
<특징> 이 인간을 따라 나서면 대개
굶게 된다. 먹을때도 번갯불에 콩구워 먹듯 해치우고
오로지 걷고 또 걷는다.
1급 - 무시입산
산행의
정신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제사가 있으나 아이가
아프나, 계획한 산행은 꼭 한다.
<특징> 폭풍이 몰아칠때 누군가 “오늘 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 “넌 비온다고 밥
안먹냐?”라고 말하면서 아예
쳐다보지도 않는다. 단순무식이 돋보인다.
초단 - 야간입산
시간이 없음을 한탄하며 주말은 물론, 퇴근후
밤에라도 산에 오른다. 산에 가자고 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산병 초기증세.
<특징> 산꼭대기에 오르면 지가 무슨
늑대라고 "아우~" 달을 보며 소리지르는 해괴한
모습을 가끔 보인다.
2단 - 면벽입산
바위타기를
즐겨, 틈도 없는 바위에 온몸을 비벼 넣으며, 바위가 애인인듯, 안고 할퀴고
버팅기고... 바위를 상대로 온갖 퍼포먼스를 한다.
<특징> 이쯤되면 대학졸업때까지 책 10권도 못봤단 말이 실감난다.
3단 - 면빙입산
날씨가 추워지기를 학수고대한다. 얼음도끼와 쇠발톱을 꺼내놓고 폭포가 얼어붙기를
축원하다가, 결빙소식만 들으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
얼음에 몸을 던진다.
<특징> 빙판길에 가족이 넘어져 다쳐도 겨울은 추워야 한다고 박박 우긴다.
4단 -
합계입산
더 높고 어려운 산은 없나 눈에 불을 켠다. 산에 관한 정보를 찾으려 외국원서를 번역
하며 평소 안하던 공부를
하기도 한다.
<특징> 산병 중증환자로서 간혹 '운수납자'(雲水衲子:탁발승을 멋스럽게 부르는 말)
흉내를 내어 고행길로
들어서기도 한다.
5단 - 설산입산
드디어 설산인 히말라야로 떠나게 된다. 생즉필사(生卽必死),
사즉필생(死卽必生)이라...알 듯 모를 듯 비장한 출사표를 내고 설산에 도전한다.
<특징> 설산으로 간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돌아왔다는 소식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6단 - 자아입산
드디어 산심을 깨닫고, 진정으로 넘어야 할 산은
마음속에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무조건 높고 험한 산에 취해 잊고있던 '사람과 산'의 관계를 알게된다.
<특징>
국가에서 주는 훈장을 가끔 받는 경우가 있다. 그동안 집사람에게 찍혔던 '산에
대한 집념'이 비로소 결실을 거둔다.
7단 - 회귀입산
산의 본질적 의미는 자신을 발견하는데 있다는, 머리에 쥐나는 진리를 깨닫고, 다시
우리나라의
낮은 산을 찾게 된다.
<특징> "걷는자만이 오를수 있다"는 지극히 쉬운 원리를 어렵게 깨우친 충격을 못이겨,
실실
웃는 하회탈 모습으로 평소의 표정이 바뀐다.
8단 - 불문입산
"산 아래 산 없고 산 위에 산 없다"라는
평등 산사상의 경지에 이른다. 이정도면 입신의
경지라 할 수 있다.
<특징> 묻지마 관광처럼, 산에 오르는
이유를 묻지말라는 선문답을 하며 유유자적 산을
즐긴다.
9단 - 소산입산
작은 산도 엄청 크고 높게
보는 겸허한 안목이 생긴다. 작은 산을 즐겨찾으나,
죽어도 힘들어서 높은 산을 못올라간다는 말은 안한다.
<특징>
다리에 힘이 빠지는 것과 비례하여 입에 양기가 오른다. 남산정도의 산행을
끝내고도, 하산주를 마실때면 과거를 회상하는 시간이 엄청
길어진다.
![]( http://blogimg.hanmail.net/blog/p_img/icon_source.gif)
'다우리·산행정보 > 등산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 산행정보 (0) | 2007.01.26 |
---|---|
[스크랩] 산행 도우미 (0) | 2007.01.23 |
[스크랩] 山山山...; 산에 가자.. // [#5-1]. (0) | 2007.01.18 |
[스크랩] 산행의 첫걸음-산이 거기 있기에[2] (0) | 2007.01.03 |
[스크랩] 산행의 첫걸음-떠나기에 앞서[3] (0) | 2007.01.03 |